'2024/05/02'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4.05.02 누가 나를 사망의 몸에서 건져내랴? / 레 19:26-37. 1

묵상자료 8386(2024. 5. 2. 목요일).

시편 시 62:9-12.

찬송 253.

 

1.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예부터 사람들은 넉넉하게 사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지 않은 듯하다. 오히려 뭔가 부족하고 조금은 약한 삶을 아름답게 묘사하고 있으니 말이다. 조선조에 김종국(1485-1541)10세와 12세에 부모를 다 여의고, 이모부인 조유형(趙有亨)에게서 양육되었다. 1509(중종 4)에 별시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하고, 이조정랑·사간·승지 등을 역임하고, 1518년 황해도관찰사가 되었다. 다음 해 기묘사화로 삭탈관직 되어 고양(高陽)에 내려가 팔여거사(八餘居士)라 칭하고, 학문을 닦으며 저술과 후진교육에 전심, 많은 선비들이 문하에 모여들었다. 1540년 병으로 관직을 사퇴하였다가 뒤에 예조·병조·형조의 참판을 지냈다. 조실부모하고 이모부 밑에서 자랐으나, 힘써 학문을 이뤄 대성한 모델이라 할 수 있다.

    “여럿이 모인 자리에서 말하길 세상 사람 중에 집을 크고 화려하게 짓고, 거처가 사치스러워 분수에 넘치는 자는 머잖아 화를 당하지 않음이 없다. 작은 집에 거친 옷으로 검소하게 사는 사람이라야 마침내 이름과 지위를 누린다.’ 그 자리에 있던 종실 이종/李鍾이 이렇게 답했다. ‘내 들으니 큰 집을 옥/이라고 하고 작은 집을 사/라 한답니다. /이란 글자를 파자/破字하면 시지/尸至 즉 송장이 이른다는 뜻이 되고요, /자는 쪼개서 읽으면 인길/人吉 곧 사람이 길하다는 뜻이 되지요. 큰 집에 사는 자가 화를 받고, 작은 집에 사는 자가 복을 받는 것이야 괴이할 일이 없습니다.’1).

    부자가 일생의 심력을 다 쏟아 자신 재물을 자손에게 물려주지만 그 재물은 마침내 다른 사람의 손에 들어가고 마니 안타깝다. 시지인길/尸至 人吉 큰 집에는 시체가 이르고, 작은 집에 살면 사람이 길하다. 부족해야 넉넉하고, 분수에 넘치면 제 몸을 망친다.” 1). 정민 [옛 사람이 건넨 네 글자], p. 24, 26. 박성완, 24.5.1.

 

2. “거룩한 백성이 되는 길2(26-37)” 모든 종교는 도덕적인 바탕이 있다고 생각하면 오해입니다. 부도덕한 종교 비윤리적인 종교도 얼마든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들을 전자는 고등 종교라고 부르고 후자를 하등종교라고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고등종교는 사람들에게 삶의 의미와 목적을 밝히고, 건강하고 풍성한 삶을 위해서 도덕적이고 건강한 삶을 추구하도록 가르칩니다. 그러나 하등종교는 사람들의 삶을 병들게 하고 피폐하게 만들며, 결국은 불행하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 읽은 본문은 대체로 도덕적인 내용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술수를 써서 점을 치지 말고, 관자놀이의 머리를 둥글게 깎지 말고, 구레나룻을 밀지 말라. 몸에 먹물로 새기지 말고 등인데, 유대인의 613가지 속에 속하는 것들입니다. 안식일을 지키고 성소를 소중히 여기고 무당이나 점쟁이에게 가서 물어보지 말라는 등 신앙적인 내용도 있습니다. 그 밖에 함께 사는 외국인을 괴롭히지 말고, 오히려 그들을 자기 백성처럼 사랑하라고 합니다. 우리 인간은 신앙인으로 거듭나기 전에 한 인간으로써 함께 살아가는 사회 공동체에 속한 사람으로 지켜야 할 윤리가 필요한 때문입니다.

    우리 사회는 다행스럽게도 신앙인에 대한 높은 도덕적 가치와 태도를 인정해 준다는 점에서 다행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러나 도덕적인 삶이란 그 실제에 대한 평가도 따라야 하겠지만, 소위 죄로부터 자유 하는 일에 있어서는 매우 보잘 것 없다는 사실을 눈떠야 할 것입니다. 유대인들이 그토록 경계하는 613가지의 율법을 제대로 지킨다는 것도 어려운 일이겠지만, 그런 형식적인 도덕적 울타리보다도 그것을 지키고 있다는 인간의 내면세계는 그 어떤 율법으로도 규제할 수 없고, 또 그런 율법으로 인간을 고양/高揚 시킬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런 문제를 예시하는 것이 로마 가톨릭이 가르치는 이른바 고행성사입니다. 공개적으로 고백할 수 없는 죄가 우리 인간의 마음속에는 엄청나게 자리 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거룩한 백성이 되려고 노력하면 할수록 더욱 더 죄의 수렁으로 빠져들고 있는 게 진실이라 하겠습니다. 그래서 유대교와 기독교는 현상적인 죄 뿐만 아니라, 마음으로 짓는 은밀한 죄로부터도 해방 받아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는 것입니다. 바울은 누가 이 사망의 몸에서 나를 구원할까? 우리 주 하나님께 감사하리로다.(7:24-45).

 

3. 주님의 평화가 여러분과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Posted by 박성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