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상자료 8663호(2025. 2. 3. 월요일).
시편 105:31-33.
찬송 71장.
1.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26년간 무속인 으로 살다가 8년 전 회심한 심선미(54) 부산 제2영도교회 집사는, 무려 40%의 기독교인들이 점집을 찾는다는 사실을 고발하였다. 이런 일은 구약시대에도 신약시대에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하나님의 섭리와 은총을 전폭적으로 믿는 사람들이 매우 드물다는 이야기이다. 왜 그럴까? 불확실한 세속의 파고/波高에 흔들리며 산다는 반증이다.
2. “수로보니게 여인의 믿음(24-30절)”과 “귀먹은 반벙어리를 고치신 예수(31-37절)”을 읽었습니다. 오늘 묵상은 첫 단락의 말씀입니다. 두로는 가나안 정복 때 아셀 지파에게 속한 땅이었으나, 예수님 당시에는 레바논의 한 지명이 되었습니다. 그러니까 헬라어를 사용하는 이방인의 땅이었던 것입니다. 예수님은 이방인의 땅인 두로에 가서 아무도 모르게 조용히 지내고 싶어 하셨는데, 그곳에서도 사람들에게 알려지게 되었다고 했습니다. 그것은 악령에 들린 어린 딸을 둔 한 수로보니게 여인이 주님을 찾아와 자신의 딸에게서 귀신을 내쫓아주실 것을 간청한 것입니다. 그때 주님은 “자녀의 떡을 취하여 개들에게 던짐이 마땅치 아니하다.”고 거절하신 것입니다. 같은 내용의 평행귀인 마 15:21-28을 보면,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고 있는데, 이 가나안 여자가 사람들이 주님을 에워싸고 있어서 큰 소리로 “다윗의 자손이여, 내 딸이 흉악한 귀신에 들렸나이다.”고 떠들어대자, 제자들이 이 여인을 보내시라고 부탁하자, 주님은 “나는 이스라엘 집의 잃어버린 양 외에는 다른 데로 보내심을 받지 아니하였노라.”고 완곡하게 거절하시는 말씀을 합니다. 그러자 여인에게 분명하고 확실하게 앞서의 말씀을 하십니다. 그러자 여인은 “주여 옳소이다마는 개들도 제 주인의 상에서 떨어지는 부스러기를 먹나이다.”고 대답합니다. 그 여인은 자신이 이스라엘 백성에 끼지 못하는 것을 알고 있었고, 그래서 하나님의 은총을 받을 자격이 없음을 알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러나 그 다음 말, “그러나 개들도 제 주인의 상에서 떨어지는 부스러기를 먹나이다.”고 절대로 뒤로 물러설 기미가 없음을 밝히는 것입니다. 불퇴전의 의지를 확실하게 한 것입니다.
우리는 새삼스럽게 믿음이 무엇인가를 주목하게 됩니다. 그것은 자신의 확고한 의지나 신념을 밝히는 것만이 아니었습니다. 수로보니게 여인이 보여주고 있는 대로, 자신의 소망 혹은 희망사항을 절대로 포기하지 않고 이루고야 말겠다는 각오를 표현하고 있습니다. 이를 보신 주님께서는 수로보니게 여인에게 “네 믿음이 크도다 네 소원대로 되리라.”고 선언하셨습니다. 그런데 공동번역 성경에서는 이 구절을 “옳은 말이다. 어서 돌아가 보아라.”고 번역하고 있는 것이 특이합니다. 원문에 가까운 번역은 공동번역입니다. 그러나 저러나 이 말씀에서 우리가 깨우쳐야 할 말씀이 있는데, 그것은 비록 이방인이라고 할지라도 올바른 믿음, 다시 말하면 예수님께서 충분히 그리고 언제든 하시고자 하시면 이루어질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는 사람에게는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가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는 정해진 사람들, 그들이 선민이든 부름을 받은 사람이든, 그들에게만 제한해서 일어나는 역사/役事가 아니라, 하나님의 은총과 능력이 하실 일에 대해서 확고한 믿음을 가진 사람들에게 위대한 구원의 역사가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우리는 하나님의 능력이나 은총을 제한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며, 오히려 하나님의 능력과 은총은 모든 하나님을 의지하고 믿는 사람들에게 무한대로 열려져 있는 축복이라는 사실입니다. 이제 우리들이 우리 스스로에게 확인할 것은, 우리가 가진 믿음이란 하나님의 은총과 능력에 대한 무한한 신뢰를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묻는 것이라고 말입니다. 그리고 동시에 그런 믿음을 우리가 지닐 수 있도록 성령님의 도움을 구해야 한다고 말입니다. 여러분이 가진 믿음이란 어떤 것입니까?
3. 주님의 평화가 여러분과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묵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엉뚱한 기적보다는 주어진 기적을 누릴 수 있기를. / 막 8:11-26. (0) | 2025.02.05 |
---|---|
문제풀이에서 실패할까 걱정하지 말자. / 막 8:1-10, (0) | 2025.02.04 |
좋은 전통 역시 그 정신을 붙들고 있을 때만. / 막 7:1-13. (0) | 2025.02.01 |
매순간이 기적임을 알게 된다면. / 막 6:45-56. (0) | 2025.01.31 |
배고픔을 나누려는 신령한 눈을 뜰 수 있기를. / 막 6:30-44. (0)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