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상자료 3(00,10,10,화요일)
잠언 22:6, 찬송 305장.
제목 : 마땅히 가르칠 부모의 책임들.
1. 삼강이란 덕목을 가르치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지도자와 백성 사이에, 부모와 자녀 사이에, 남편과 아내 사이에 마땅히 지킬 도리가 있다는 내용을 담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 시절에는 지도자는 지도자대로, 백성은 백성대로 자신의 역할과 책임에 대해서 많은 노력을 하였습니다. 부모와 자녀들 역시 그랬고, 남편과 아내 역시 그랬습니다. 그 때문에 자신이 해야 할 일과 해서는 안될 일에 대해서, 분명한 이해가 있었습니다. 가령 부모를 홀대하는 젊은이가 있다면 그 주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불효자식이라고 책망을 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시대가 많이 달라졌습니다. 분명 부모를 홀대하는 것을 뻔히 알고 있는데도, 어느 누구하나 책망하는 사람이 없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우리의 서울 거리에는 제 멋대로 살아가는 젊은이들로 만원을 이루고 있습니다. 어른과 아이가 구별되지 않고 있습니다. 지도자와 백성이 구별되지 않고 있습니다. 저 마다 자신이 왕이 된 것처럼 행세하고 있습니다.
2. 좋은 시대라고 부러워하는 이들도 없진 않으나, 조금만 깊이 내일을 걱정하는 사람이라면 “힘 센 사람이 주인 노릇 하는 기막힌 시대가 되었구나.”하고 개탄할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어린 중학교 여학생이 노인을 뒤따라가서 밀쳐 결국 죽게 만드는 그런 시대가 되었습니다. 그렇다고 한탄만 하겠습니까? 지금부터라도 더 늦기 전에 우리 사회의 가장 기본 단위인 가정들이 제 자리를 찾아야 하겠습니다. 성경의 사람들은 옛날부터 계속 이 점을 분명히 내다보았습니다. 모든 가정에서 부모가 제 자식을 잘 지도하면 희망이 있는 세상을 만들어 갈 수 있다고 말입니다. 오늘의 비극도 사실은 가정의 붕괴현상에서 그 원인을 찾아야 할 것이기 때문입니다.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도 그것을 떠나지 아니하리라.” 그렇습니다. 모든 기본이 되는 교육은 부모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합니다. 이것은 하나님의 거룩한 뜻입니다. 기본 교육, 기초 교육, 이것보다 더 중요한 교육이 어디에 있겠습니까? 기본을 자녀에게 가르치는 일은 부모에게 맡겨진 거룩한 책임입니다.
3. 어떤 것들을 가르쳐야 하겠습니까?
말을 제대로 가르쳐야 하겠습니다. 우선 바른 말씨를 가르칩시다. 듣기에 저속한 쌍스런 말에서 시작해서 험한 말들이 가득합니다. 우리 자녀들의 입에서 이런 말씨가 사라지도록 엄하게 지도합시다. 이런 경우엔 지체 말고 벌금을 물게 하거나 야단을 아끼지 맙시다. 부드럽고 따뜻한 말씨를 권장합시다. 시퍼런 칼보다 더 사람의 심장을 헤집는 말의 폭력이 난무하고 있는데, 우리 가정에서 부드러운 말로 본을 보여 줍시다. 사랑과 격려의 말을 사용토록 합시다.
다른 사람들을 배려하는 넓은 마음을 갖도록 격려해야 하겠습니다. 갈수록 자기 중심적인 젊은이들이 늘어가고 있습니다. 보통 큰 문제가 아닙니다. 독불장군으로는 세상을 살아갈 수 없습니다. 함께 살아야 하겠는데, 저마다 제 고집대로 살려고 하면 배가 산으로 올라가지 않겠습니까? 함께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을 배려하는 마음을 길들이기 위해 훈련이 필요합니다. 언뜻 보기엔 손해보는 일처럼 생각되기에 잘 알면서도 실천하기가 어려운 게 사실입니다. 더군다나 외동 아들, 딸로 자라난 세대에게는 정말 어려운 주문입니다. 그래서 칭찬과 모범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하나님을 두려워하도록 가르쳐야 하겠습니다. 어느 불신자 아버지가 자식에게는 교회에 다니도록 권했다는 얘기를 들었습니다. 세상이 너무 살벌해서 분명 잘못될 것이 눈에 보였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 돕지 아니하신다면 아무 것도 희망이 없다고 생각하셨을 것입니다. 우리는 신앙 인으로서 하나님의 은총을 구해야 하겠습니다. 우리 아이들도 하나님의 은총을 구하는 사람들이 된다면, 그들은 필경 제 구실을 하면서 살아갈 것입니다. 사람으로서는 불가능한 일들도 하나님께로서는 가능하기 때문에 절망하는 일도 없을 것입니다. 불안한 생각도 떨쳐버릴 수 있을 것입니다.
4. 자식은 우리의 거울입니다. 우리가 웃을 때 그들도 웃을 수 있습니다. 그들이 슬퍼할 때, 그것은 우리의 슬픔입니다. 우리가 절망하면 그들도 절망하게 됩니다. 그들이 보람과 기쁨 가득한 세상을 달음질 할 때, 그것은 우리의 삶의 모습입니다. 우리의 모습에서 그들을 볼 수 있습니다. 참으로 두려운 일이며 또한 위로가 될 일입니다. 우리 한 사람 한 사람 어른들이 제 자리를 찾아야 하겠습니다. 그래야 우리 아이들도 아무 염려 없이 건강하고 당당한 부모들의 뒷모습을 보면서 기운차고 사랑스럽게 자라날 것입니다.
오늘도 하나님께서 여러분과 여러분의 아이들을 지켜주시기를 기도하십시오. 오늘 11시에는 도수리 사모님(도로우목사님)의 요한 비헤른 봉사상 수상식이 루터신학대학교에서 있을 예정입니다. 이를 위해서도 기도해 주십시오.
여러분을 위해 부름받은 주님의 작은 종 박성완 목사 드림.
'묵상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당하게 살기 / 잠언 22:29 (0) | 2013.12.19 |
---|---|
사람을 귀하게 여깁시다 / 잠언 22:16 (0) | 2013.12.19 |
하나님께서 우리를 보고 계신다 / 잠언 22:12 (0) | 2013.12.19 |
제물보다는 여러분 자신을 드리십시오 / 잠언 21:27 (0) | 2013.12.19 |
[묵상] 두 욕망의 차이 / 잠언 21:26 (0) | 2013.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