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8'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25.04.18 평범하고 바른 삶이 축복이다. / 벧전 1:10-20.

묵상자료 8737(2025. 4. 18. 성주간 금요일).

시편 116:13-15.

찬송 463.

 

1. 주님께서 여러분과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인간의 품성 중 관대함, 자비심, 공정함, 정직함, 준비성은 돈을 어떻게 쓰느냐에 달려 있다. 반대로 최악의 성품인 탐욕 인색함, 무절제, 방탕함은 돈을 잘못 쓰는 데서 비롯된다. 돈을 바르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은 훌륭한 자질이다. 돈은 삶에 필요한 영양소이자 윤활유이지만, 돈에 탐닉하면 사기 부정과 같은 악습이 나타난다. 악의 뿌리는 돈 그 자체가 아니라 돈에 대한 집착이다. 논이 삶의 목적이 되면 노예처럼 돈에 종속된다.” 윤문원, 지혜와 평정, pp.80-81.

 

2. “산 희망(10-12)”거룩한 생활(13-20)”을 읽었습니다. 이 두 단락을 요약하면 구원과 거룩한 생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우리 주님께서 십자가에 달려 죽으심을 기억하는 성주간 금요일입니다. 기독교의 오랜 전통중 하나는 오늘 금식을 하거나 오락을 금하는 그런 어두운 날이었습니다. 그리고 십자가를 주제로 하는 가상칠언/架上七言을 묵상하는 특별한 기도회를 갖기도 하였습니다. 이렇듯 역사적인 사실들을 기억하고 묵상하는 것이야말로 신앙을 지탱하는 가장 힘 있는 방법이었을 것입니다. 마치 유월절을 지키기 위해서 예루살렘을 방문하는 세계에 널리 흩어져 있는 유대인들처럼 말입니다. 물론 이슬람에서도 2025년도 성지순례일 하즈(Hajj)66일 저녁부터 611일 저녁까지 진행한다고 합니다. 오늘 우리가 묵상할 말씀은 벧전 1:10-20, 첫 단락은 우리가 가진 믿음이 영혼을 구원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이 믿음이 구원에 이르는 것을 깨우쳐 주신 분이 성령님이시고, 이를 우리에게 전해주신 것 또한 성령님의 도움으로 이루어졌다 말씀합니다. 그리고 두 번째 단락에서는 우리는 예수 그리스도께서 다시 오실 때까지 이 은총을 간직하고 끝까지 거룩한 삶을 살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자주 사용하는 거룩한 삶이란 크리스천다운 삶이라고 할 수 있는데, 순결하고 아름다운 삶을 의미할 뿐 아니라, 실제적인 의미는 구별된 삶을 말합니다. 다시 말하면 세상 사람들의 삶과는 다른 모습을 뜻합니다. 어쩌면 이를 일찍 깨우친 사람들이 바리새파 사람들이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들은 스스로를 거룩한 사람, 곧 세상 사람들과는 다른 구별된 사람이라고 생각했습니다. 바로 바리새라는 말은 주전 135년 요한 힐카누스 통치 때에 처음으로 나타났는데, 그들은 하나님께 충성하는데 삶의 의미를 둔 하시딤이었습니다. 그런데 그들은 자신들을 다른 사람들과 구별된 사람이라는 표시로, 눈에 띄는 차림새를 했습니다. 그러다가 그 강조가 지나쳐서 예수님 당시에는 가장 교만한 사람으로 비춰진 것입니다. 그러나 역사가 요세푸스의 기록에 의하면, 바리새파의 전성기 때 6천명 정도였다고 합니다. 구원받은 사람들로 구별된 삶을 사는 것은 너무도 당연했을 것입니다.

    엊그제 동창 몇 분과 오찬을 하면서, 오늘의 우리 교회의 모습을 전해들을 수 있었습니다. 교회 지도자들의 하극상은 물론 평신도들에 의해서조차 불신임을 받고 있다는 얘기도 있었습니다. 유일하게 목회자인 저는 부끄러움에 얼굴을 들 수 없었습니다. 대부분의 문제들은 교회 지도자들에 의해서 시작하고 끝나고 있음을 알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대부분의 지도자들이 출발은 겸손과 충성이었으나, 그 끝은 교만과 탐욕이었습니다. 문제는 이런 어리석음을 되풀이 하고 있다는 현실입니다. 제가 가끔 인용하는 아프리카 돼지 이야기가 있습니다. 100여 마리 돼지를 몰고 가는 목자가 있습니다. 그런데 목자의 긴 회초리에 맞으면서 걸어가는 돼지가 있었습니다. 그 돼지는 무리에 섞여서 고분고분 살아가는 것에 불만을 품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뒤로 자꾸 뒤쳐지면서 어딘가 있을지 모를 먹이를 찾고 있었습니다. 그것을 두고만 볼 목자가 아니었고, 목자는 그 돼지의 엉덩이를 회초리로 때렸고, 맞은 후 무리와 합류하곤 하였습니다. 그런데 그 돼지가 계속 맞으면서 가고 있었다는 점입니다. 어쩌면 그 돼지는 자신은 남처럼 살지 않겠다 결심했는지 모릅니다. 그래서 모험심을 발휘해서 대열에서 이탈, 목자의 심기를 불편하게 했을 것입니다. 그것은 교만과 탐욕의 자세이고, 불순종의 전형/典型입니다. 거룩한 삶 곧, 남들과는 다르게 살겠다는 의지는 바람직하지만, 교만과 탐욕에 이르지 않도록 경계해야 하겠습니다. 겸손과 순종은 너무 평범해서 흥미를 잃을 수도 있지만, 사실은 그런 평범한 삶이란 그 자체가 축복이었습니다.

 

3. 주님의 평화가 여러분과 함께 하시기를 바랍니다.

Posted by 박성완
,